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 330
    [미주교계뉴스] 효사랑 선교회, 17일 김중배 이사장 선교사 파송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효사랑선교회(대표 김영찬 목사)가12월 17일 오후 3시에 효사랑선교회(7342 Orangethorpe Ave #B 113   Buena Park  CA 90621)에서 선교사 파송식을 갖고 필리핀 기술교육을 위해 이사장 김중배 장로를 선교사로 파송했다. 정찬균 목사(시니어대학 학장)의 사회로 진행된 파송예배는 주창국 장로(초대이사장)의 기도와 남승우 목사(One hope church)의 ‘바울의 생사관’이라는 설교로 진행됐다. 참석한 모든 목사들이 함께 뜨겁게 안수기도하며 이어진2부 파송식에서는 선교사로 나서는 김중배 장로에게 파송패를 전달하고 효사랑선교회 대표인 김영찬 목사의 선교사 파송선포로 이어졌다. 이명환 목사(시온중앙장로교회 담임), 신인철 목사(쉐마장로교회 담임)가 축사로 서건오 목사(O.C. 아버지학교 지도목사)와 이병철 목사(L.A. 아버지학교 지도목사)가 격려사로 선교지로 파송된 김중배 장로에게 따뜻한 격려를 전했다. 이어진 3부순서에서는 아들인 김성아 전도사가 “사명”을 축가로 불러 김중배 장로와 청중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김중배 장로는 답사를 통해 "10년 전 아시아 연합신학교 신학대학원 신종균 선교사와의 교제를 통해 필리핀에 선교 요청을 받았고 하나님께서 지난 기간 우물파기 교육과 다양한 기술을 교육받게 하시며 선교할 수 있도록 응답해 주셨다"면서 "이 모든 결정은 하나님께 맡겨드렸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특별히 선교사로 헌신 할 수 있도록 허락해준 아내와 사업체를 이어받아 일하게된 아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며 “효사랑선교회와 함께 섬길수 있어서 행복했고 현재 열심으로 섬기고 있는  사역자들이 있어 든든하다”고 인사를 전했다. 김중배 장로는 파송식 이후에 필리핀에 있는 아시아 연합신학교 신학대학원으로 파송되어 선교사로 헌신하여 섬기게 된다.  김중배 선교사는 1998년 도미해 2004년 아버지학교를 수료한 후 19년 동안 미 전역을 다니며 아버지학교 사역을 통해 가정 세우기 사역을 감당했다. 지난 2019년부터 효사랑선교회에 학장과 이사장으로 봉사했고, 시온중앙장로교회(담임 이명환 목사) 시무장로로 섬겼다.  한편 필리핀 아시아 연합신학교 신학대학원(신종균 총장)은 전액 장학금을 통해 현지 목회자를 교육해 양성하고 있으며, 앞으로 일반대학으로 전환해 냉동, 냉장, 에어컨 정비, 미장, 미용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가르쳐 각 교회가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효사랑선교회의 선교 문의 및 시니어대학 수강에 대한 안내는 (714) 833-2710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선교사로 파송 받은 김중배 장로가 큰소리로 선교사로서의 각오를 외치고 있다.  
    Read More
  • 329
    [미주교계뉴스] 美 목사, 코로나 지원금 100억원 횡령, 호화주택 사려다 덜미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미국의 한 목사가 840만 달러에 달하는 코로나19 지원금으로 디즈니월드 옆 호화주택을 사들이려다 덜미를 잡혔다고 로컬 방송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목사 에번 에드워즈와 그의 아들 조시는 14일 금융 사기 등 6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이들은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던 2020년 4월 정부가 소상공인 등을 구제하기 위해 뿌리고 있던 코로나19 지원금에 손을 대기로 작정하고 범행을 모의했다. 이들은 당시 가족이 운영하는 종교 단체 '아슬란 국제 성직자'(ASLAN International Ministry)가 재정 위기를 겪고 있다면서 급여 보호 프로그램(PPP) 지원을 신청했다. PPP는 2020년 도입된 경기 부양 패키지에 포함된 조치로, 직원 500명 이하 소규모 사업체에 대해 급여 지급용으로 2년간 최대 1천만 달러의 무담보 대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조시 에드워즈는 당시 단체 소속 근로자 486명에 대한 급여 270만 달러와 임대료, 공공요금 등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한 달 뒤 840만 달러의 대출을 승인받았다. 하지만 소장에 따르면 아슬란의 실제 직원 수는 조시 에드워즈의 주장보다 훨씬 적은 수준이었다. 필요한 급여도 마찬가지였다. 얼마 가지 않아 이들이 허위 주장으로 해당 지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그해 9월 경찰이 이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면서 그들의 범행이 들통났다. 수사관들이 올랜도의 사무실을 수색했을 때 사무실 문은 잠겨 있었고 인근 주민들은 이건물에서 누군가 일하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아슬란 국제 성직자 인터넷 홈페이지 내 기부 링크는 비활성화돼 있고 일부 글은 다른 종교 관련 사이트에서 도용한 것으로 드러나는 등 수상한 점은 계속 발견됐다. 결국 이들은 이날 경찰에 체포됐고, 지원금 840만달러는 모두 회수됐다. NBC는 노골적인 사기 행각에 비해 이들에 대한 사법처리가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다. 플로리다주 법원에 제출된 소장에 따르면 이들은 이 대출금을 받아 다수의 은행 계좌에 나눠 보관하고 있었다. 부자는 대출금으로 올랜도 외곽 디즈니랜드 근처에 있는 370만 달러짜리 호화 주택을 구매할 계획을 세우기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금의 일부는 주택 보증금으로 따로 떼어내 보관하고 있었다고 한다. 인근 주민은 "이들이 체포돼 기쁘다"면서 "실제로 체포되기까지 너무 오래 걸렸다"고 말했다고 NBC는 전했다. 최근 미국에선 정부가 코로나 팬데믹 때 막대한 지원금을 뿌리면서 자격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마구 집행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Read More
  • 328
    [글로벌뉴스] 아프리카 수단 교회 건물 수단군 용의자 방화로 전소돼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이슬람 극단주의자로 의심되는 수단 군인 남성이 12월 16일 금요일 수단 동부에 있는 교회에 불을 질러 전소 되었다고 밝혔다. 크리스찬헤드라인에 따르면 알 카다리프주 엘다오카에 있는 수단기독교교회 신도 100명의 20년 된 건물이 수단군의 용의자에 의해 불태워졌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수단의 수도 하르툼에서 동쪽으로 400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다. 교회측 변호사는 “용의자는 교회가 있는 것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으로 조사를 받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공격이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범죄 행위이며 2년에서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수단 기독교인들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해 용의자의 체포를 요구했다. 기독교청년연합의 오사마 사이드 무사 위원장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리는 이 사건을 강력한 말로 비난하고 정부가 이 사건을 조사하고 범인을 처벌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오마르 알-바시르 정권 하의 이슬람 독재 정권이 2019년에 끝난 뒤 수단의 종교 자유가 2년간 진전된 데 이어 지난해 10월 25일 군사 쿠데타로 국가 지원 박해의 망령이 되살아났다. 바시르가 2019년 4월 30년간의 권좌에서 축출된 후 과도기 민군 정부는 일부 이슬람 율법 조항을 철회하는 데 성공했다. 어떤 종교 단체도 "인피델"로 표기하는 것을 금지했고, 따라서 이슬람을 사형에 처하도록 한 배교법을 사실상 폐지했다. 2021년 10월 25일에 일어난 쿠데타로 인해 수단의 기독교인들은 이슬람 율법의 가장 억압적이고 가혹한 측면이 돌아오는 것을 두려워한다. 2019년 9월부터 총리로 과도정부를 이끌었던 압달라 함독은 2021년 11월 힘없는 권력분점 합의로 석방돼 복권되기 전까지 거의 한 달 가까이 가택연금 상태에 있었다. 함독은 2021년 10월 25일 쿠데타로 과도정부를 뿌리뽑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바시르 정권에서 오랜 부패와 이슬람주의 "깊은 국가"를 뿌리뽑아야 했다. 반군들에 의한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는 쿠데타 전후로 계속되었다. 기독교 신자가 되기 가장 어려운 나라들의 2022년 오픈도어 월드워치 리스트에서 수단은 반군들의 공격이 계속되고 국가 차원의 종교 자유 개혁이 국지적으로 시행되지 않아 전년도 순위인 13위에 머물렀다. 수단은 2021년 세계관측목록에서 13위에 올랐을 때 6년 만에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미 국무부의 국제종교자유보고서에 따르면 배교죄의 무효화와 교회 철거 중단으로 여건이 다소 개선됐지만 여전히 보수적인 이슬람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은 교회 건축 허가 취득에 문제가 있는 등 차별에 직면해 있다. 미 국무부는 2019년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터무니 없는 종교자유 침해'를 허용하거나 용인하는 특정 우려국가(CPC) 목록에서 수단을 삭제하고 감시대상국(watch list)으로 격상했다. 미 국무부는 2020년 12월 수단을 특별감시대상 대상에서 제외했다. 수단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 CPC로 지정되었다. 수단의 기독교 인구는 20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전체 인구 4300만 명의4.5퍼센트이다.
    Read More
  • 327
    [미주교계뉴스] 최근 5년간 美 교회 위협행위 최소 420건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최근 5년간 교회에 대한 적대행위가 미국 내에서만 최소 420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크리스천포스트에 따르면 워싱턴DC에 본부를 둔 기독교단체 '가족연구위원회'(FRC)는 2018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미국 46개주에서 교회를 대상으로 일어난 폭력행위 데이터를 기초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적대행위에는 공공 기물 파손, 방화, 총기 관련 사건 및 폭탄 위협 등이 포함됐다. FRC 종교자유센터의 아리엘 델 투르코 부소장은 "점점 기독교적 가치를 거부하는 서구 문화에 의해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이 높아지는 것은 충분히 우려할 가치가 있다"며 "공격의 심각성과 빈도가 잠재적으로 기독교 공동체를 위협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교회에 대한 적대행위는 50건 발생했다. 2019년에는 83건으로 증가했다가 2020년에는 54건으로 감소한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유행하면서 정부의 규제와 일반적인 이동 감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2021년에는 96건,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는 137건의 적대행위가 있었다. 특히 이 중 57건이 낙태와 관련이 있었다.   보고서는 "예를 들어 지난 3월 플로리다 바토에 있는 메인스트리트침례교회와 캘리포니아 소노라의 저니교회는 방화로 건물이 파괴됐다"면서 "7월에는 워싱턴 D.C.의 메릴랜드 교외에 있는 노스베데스다연합 감리교회와 몽고메리 카운티에 위치한 와일드우드침례교회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인구가 많은 주에서 더 많은 적대행위가 일어났다"며 "캘리포니아가 51건으로 가장 많았고 텍사스 33건, 뉴욕 31건, 플로디다 23건이 뒤를 이었다"고 설명했다. 델 투르코는 "교회 재산을 파괴하는 범죄 행위는 기독교에 대한 사회적 존경과 존중이 붕괴하는 징후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국인들은 인간의 존엄성과 성에 관련된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것을 포함하여 기독교의 핵심 가치는 소외시키면서 교회 건물에 대해 비난하는 것을 점점 편안하게 느끼는 것 같다"고 우려를 표했다.
    Read More
  • 326
    [미주교계뉴스] 드림오케스트라 헨델의 메시아 공연 열어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로스엔젤레스 드림 오케스트라가 2년의 팬더믹을 뒤로하고 매년 열렸던 헨델의 메시아를 로스엔젤레스 천사들의 모후 대성당(the Cathedral of Our Lady of the Angels)에서 연주했다. 이날 공연은 LA오페라 코러스 와 대성당 합창단이 참가해 합창했다. 솔로에는 소프라노, Anastasia Malliaras, 카운터 태너, Corey Hable, 태너 Arnold Livingstone, 바리톤, Ben Low, 최 정상급 가수들이 출현해 아름다운 연주를 펼친 공연은 크리스마스 파트 전곡과 할렐루야 합창, 아멘 합창으로 끝을 맺었다.  다니엘 석 지휘자는 “오랜 팬더믹이후 드디어 공연들을 할 수 있어 기쁘고 감회가 새롭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헨델의 메시아를 성공적으로 공연한 드림 오케스트라는 2023년 1월 29일 일요일 오후 3시에 윌셔 이벨 극장에서 신년 음악회를 한다.  신세대 스타 바이올리니스트, Aubree Oliverson과 20세기 최고의 작곡가 중에 하나인 Samuel Barber 의 바이올린 콘체르토를 연주한다. 이날은 특별히 드림 오케스트라와 Ebell of Los angeles 협력 결합을 축하하는 공연이기도 하다.  음악 감독겸 지휘자 다니엘 석이 이끄는 드림 오케스트라는 11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프로악단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엘에리 대성당과 Ebell of Los Angeles 와 협력해 정기 공연을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1월 29일에 열리는 공연 티켓은www.dreamorchestra.org 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Read More
  • 325
    [미주교계뉴스] 박창성 목사와 함께하는 그랜드캐년 탐사여행 참가자 모집 크리스천헤럴드2022.12.22
      세계창조선교회(회장 박창성 목사)는2023년 3월 28일 부터 4월 1일 까지 그랜드캐년, 브라이스캐년, 자이언캐년, 규화목 국립공원, 페인티드 사막, 세도나, Powell 호수, 등 지역으로 탐사여행을 떠난다. 라스베가스로 부터 출발하는 이 탐사를 이끄는 박창성 목사는 세계창조선교회(WCM) 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한국 창조과학회 명예이사, 교과서 진화론 개정 추진위원회 학술위원이며 CTS TV 의 "4인4색"에 출연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를 탐사하며, 하나님의 창조와 노아의 홍수에 대해서 강의하기도 했다.  세계창조선교회(WCM)는 창조신앙 부흥의 사명을 받고, 2001년 4월에 창립되어 성경적, 과학적 창조론을 통하여 성경과 실재(reality)를 연결함으로써, 교회의 선교, 교육 사역을 돕고 성도들이 성경의 권위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사역을 하고 있으며 창조박물관을 그랜드캐년 지역에 건립하여, 전세계에서 방문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성경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려주고 복음을 전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참가 문의는 세계창조선교회 503-330-2981 또는 info@wcmweb.org 이메일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wcmweb.org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ad More
  • 324
    [오피니언] 샘신 목사 칼럼 - 동행 크리스천헤럴드2022.12.20
     두 사람이 뜻이 같지 않은데 어찌 동행하겠으며...(암3:3)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아모스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을 책망하시는 말씀입니다.매우 짧은 말씀이지만 우리 모두는 평생 기억해야 할 두렵고 떨리는 말씀이기도 합니다. 먼저 이 말씀 속에 들어 있는 기본적인 교훈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째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 생각하시는 죄의 개념입니다. 죄성을 가진 우리는 죄라고 하면 제일 먼저 윤리적인 개념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생각하시는 죄의 개념은 “뜻이 같지 않은 것”입니다. 즉 생각이 같지 않은 것이 하나님이 생각하시는 죄의 개념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말하면 우리가 생각하는 죄의 개념은 열매요 결과요 행위라면 하나님은 그러한 죄의 결과들이 나타나기 전의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아직 열매로 나타나지 않아도 생각이 다르다면 하나님은 그것을 죄라고 보신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신앙생활의 본질입니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행위에 둔다면 하나님은 우리와 동행하시고 싶으신 것입니다. 흔히들 둘이 여행을 갔을 때 어떤 사람은 여행을 간 장소와 여행지에서 했던 일을 가지고 여행을 평가할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둘이서 여행을 갔다는 것 자체가 이미 의미있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두 사람과의 관계가 정말 사랑하는 관계라면 어느 곳을 가서 무슨 일을 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둘이서 동행을 했다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됩니다. 하나님은 후자입니다. 아모스 선지자를 통한 하나님의 책망 속에서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마음을 읽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오늘 말씀이 가지고 있는 실재성입니다. 우리는 오늘 말씀의 경고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오늘 말씀의 경고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면 우리의 삶에서 놀라운 일이 일어날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뜻이 다른 데도 같이 가려고 하고 자기들은 같이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뜻이 다른데도 같이 갈 수 있다면 오늘말씀은 거짓말이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지금도 수많은 교회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관계 속에서 오늘 말씀이 사실임이 입증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싸우고 있으며 헤어지며 어려움을 당하고 있음을 봅니다. 저는 그 증거를 바울과 바나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차 전도여행을 마친 바울과 바나바는 안디옥 교회로 돌아왔다가 제2차 전도여행을 갈 계획을 합니다. 바울은 바나바에게 1차 전도여행을 간 곳에 다시 가서1차 전도여행 때에 구원받은 형제들을 돕자고 제안을 합니다. 바나바도 바울의 제안, 생각, 뜻에 동의를 합니다. 문제는 마가 때문에 일어났습니다. 마가에 대한 생각, 뜻이 달랐습니다. 그 결과 성경은 바울과 바나바가 크게 다투고 헤어졌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바울과 바나바 사건을 통해 사람들이 왜 싸우는가? 그리고 왜 헤어지는가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인 아모스 3장 3절의 말씀이 현실이 된 것입니다. 바울과 바나바의 다툼이 주는 중요한 교훈은 하나입니다. 그들은 서로를 사랑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교리적인 차이가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그들은 뜻을 같이하여 율법주의자들과 싸웠던 사람들입니다. 그들이 영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인격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다만 한 가지 생각이 달랐을 뿐입니다. 아모스 선지자를 통해 주신 하나님의 말씀대로 뜻이 달라 같이 동행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성경은 바울과 바나바의 다툼을 가지고 누가 옳고 그른가를 말하지 않습니다. 그저 생각이 다르면 바울과 바나바와 같은 사람도 동행할 수 없음을 그림처럼 보여주고 있을 뿐입니다. 뜻이 다르면 같이 동행 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원조가 있습니다. 에덴동산에 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하나의 뜻만 있었을 때가 있었습니다. 아담은 “선악과를 먹지 말라”는 하나님의 뜻을 동의하고 일치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에덴동산에 하나님의 뜻과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뜻이 찾아옵니다. 바로 마귀의 생각, 뜻이었습니다. 아담은 하나님의 뜻을 버리고 마귀의 뜻을 선택했습니다. 성경은 이것을 죄, 불순종, 불의라고 합니다. 아담이 하나님의 뜻을 버리고 마귀의 뜻을 선택하자 하나님은 아담과 동행할 수 없었습니다. 우리는 아모스 3장 3절의 말씀이 선포되고 기록되기 전에 아모스 3장 3절의 법칙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울과 바나바, 아담이 본문의 말씀이 진리임을 보여주는 부정적 모델이라면 예수님은 긍정적 모델입니다. 아담을 찾아온 마귀는 예수님에게도 찾아와 자기의 생각을 제안하며 자기와 동행할 것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그것을 마귀의 유혹, 시험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여기서 마귀의 유혹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윤리적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마귀의 유혹을 받아 마귀와 동행하다가 보면 윤리적인 열매가 맺힌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고 보면 우리의 영적인 타락은 윤리적인 열매가 있기 전에 일어나는 일임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마귀의 생각을 강력하게 거절합니다. 예수님께서 마귀의 생각을 거절했다는 것은 마귀와는 동행하지 않겠다는 것이요 동시에 하나님과 동행하시겠다는 예수님의 의지가 표현된 것입니다. 우리는 오늘 본문 말씀을 묵상함에 있어 반드시 살펴보고 교훈을 받아야 할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은 에녹입니다. 에녹은 하나님과 동행한 모델로 성경이 증거하는 사람입니다. 65년을 하나님과 동행하지 않고 살았던 에녹은 300년을 동행하고 죽음을 보지 않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입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에녹의 동행을 믿음이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했다고 표현합니다. 우리는 믿음, 혹은 하나님과 동행, 그리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면 굉장한 어떤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우리 생각이고, 하나님의 생각은 뜻을 같이하여 동행하는 것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임을 예수님과 에녹을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도 하나님과 동행하시는 멋진 하루가 되시길 소망합니다.샘신 목사 SAM Community Church 
    Read More
  • 323
    [미주교계뉴스] 코로나로 소망 잃은 청년세대에 새로운 용기, 하이어 콜링 크리스천헤럴드2022.12.15
      순 무브먼트 글로벌(SOON Movement Global, 대표 오윤태 목사)은 이번 겨울 전국적으로 중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Living Hope”를 주제로 Higher Calling Conference가 드디어 개최되고 있다. 가주 대학생 대상 컨퍼런스는 지난 12월20월에 시작됐고 23일까지 계속되며 동부 지역 대학생들의 컨퍼런스는 내년 1월4일부터 시작된다.   Higher Calling Conference 관계자는 “펜더믹으로 인해 지난 3년여동안 제대로 도전하며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없었던 젊은이들에게 미주 서부와 동부에서 대학생들과 서부에서 Youth 들을 위한 이번 집회가 Living Hope라는 주제 그대로 새로운 소망을 가지고 도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설명한다. 또한 “이민교회의 청년대학생 사역과 십대들의 사역에도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 제대로 모여지는 Higher Calling Conference 는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이다.”고 전했다. 미서부지역 대학청년들은 12월20일 부터  23일 까지 Burbank에 있는 Marriot Hotel에서 미동부지역 대학청년들은 1월4일 부터 7일 까지 New Jersey에 위치한 Harvey Cedars Bible Conference에서 진행되며Youth Higher Calling 은  12월27일 부터30일 까지 포모나에 있는  CA Sheraton Hotel에서 대회가 열린다. 매 집회마다 3박4일간 진행되며 주요강사로는 대학생들을 위하여는Harold Kim, Steven Chong, David Oh, Benjamin Shin, Christopher Yuan, Jay Chun, Kee Won Huh, Samuel Choi등의 강사들이 나선다. 또한 중고등학생들을 위하여는 Victor Chayasirisophon, Ben Cho, Bible Cho, Helen Chun, David Oh 등 현재 미주에서 차세대 사역의 주역으로 섬기고 있는 2세 사역자들과 교수들 그리고 학원 선교사들이 2세들이 고민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소통할 예정이다.  강사들은 앞으로 2세들이 가야할 방향과 길을 제시하며 그리스도인들로서 그들이 서야 할 자리와 붙잡아야 할 비전에 대해서 나누고 도전할 것이 기대된다. 특별히 Soul Care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인들이 십대들을 개인적으로 만나 함께 고민을 나누고 기도하는 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  Higher Calling Conference는 지난 25년간 미주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연례 프로그램으로 다음세대들의 정체성을 하나님의 나라와 선교라는 큰 주제안에서 찾아가고 재정립하는 집회이다.  순 무브먼트에서 대표로 섬기고 있는 오윤태 목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미주에서 2세대 3세대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이민자라는 의미를 뛰어 넘는다.”면서 “하나님의 역사적인 관점에서 자신들의 디아스포라로서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것은 인생에 전환점을 가지고 올 것이며 누가 무어라 해도 이들은 하나님이 세계선교를 위해서 준비시키신 하나님의 귀중한 자원들이기에 이들에게서 수많은 지도자들과 이 도시 나라를 넘어서 세계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인물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고 강조하며 집회를 위한 커뮤니티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순 무브먼트는 국제 CCC의 한 사역으로 모든 캠퍼스와 열방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하는 초교파 단체이다. 
    Read More
  • 322
    [오피니언] 조영석 목사 칼럼 - 지울 수 없는 흔적 크리스천헤럴드2022.12.15
      연말이 되면 우편물이 많아지는데, 한 해의 마지막 대목인 크리스마스를 맞아 특별 세일을 알리는 광고들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광고지에 크리스마스라는 단어는 사라지고 대신 홀리데이가 등장했다. 모든 기념일은 그 이름대로 광고에 실리는 반면 유독 크리스마스만 예외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얼 데이는 이 날을 기념하는 이름을 본떠서 메모리얼 데이 세일이다. 독립기념일 세일 또한 마찬가지다. 다른 기념일들도 모두 그렇다. 유독 크리스마스만 이 단어를 빼고 이름없는 휴일로 바뀌었다. 사람들과 나누는 인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메리 크리스마스” 대신 “해피 홀리데이” 로 부르며 인사를 나눈다.  보수와 진보 정권이 바뀔 때마다 메리 크리스마스가 등장했다 사라졌다 하지만, 대세는 해피 홀리데이로 바뀌고 있는 듯하다. 이런 변화를 거부하는 기독교인들이 줄고 있고, 다음 세대 기독교인들마저 줄고 있어 이 흐름은 불가피해 보인다.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에서 예수를 빼버렸어도 세상은 별 문제 삼지 않는다.  크리스마스 만이 아니다. 갈수록 우리 주변에서 기독교 문화와 흔적이 사라지고 있다. 가속화되는 세속화의 물결과 반기독교적 사상을 가진 주와 정부의 정책들로 인해 기독교는 힘없는 소수의 문화가 되어가고 있다. 학교와 기관에서도 기독교 탈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학계에서는 이미 BC (Before Christ) 를 BCE (Before common era) 로, AD (Anno domini) 를 CE (Common era) 로 바꿔서 공식문서에 사용하고 있다.  크리스천들이 안일하게 대처하는 사이 세상에서는 기독교의 흔적을 지우려는 노력이 사방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보고 염려하는 기독교인들이 많지만 돌이키기엔 이미 너무 늦은 게 아닌가 싶다. 다음세대를 생각할 때 염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역사를 돌아보면 이러한 시도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는 이미 예수님의 탄생일부터 시작된 일이다.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태어나신 날부터 헤롯 왕이 그 존재를 지우려고 당시 그 지역에 있는 모든 아기들을 대학살 했다. 예수의 사역을 지우기 위해 바리새인과 율법자들이 기를 쓰고 막고 살해하려 했다. 예수께서 죽음에서 다시 살아나셨을 때 예수의 부활을 지우려고 대제사장은 무덤을 지켰던 군인들에게 돈을 주며 거짓 증언을 퍼트리도록 했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흔적을 지우려는 음모와 시도는 2000년이 넘게 이어져왔고, 오늘도 계속되고 있고, 세상이 끝날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염려할 것 없다. 이는 예수의 존재를 지우고 기독교를 없애려는 시도가 지난 2000년 동안 실패했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아무리 지우고, 없애고, 거짓을 퍼트리고, 역사와 기록을 바꾼다 해도 그들이 실패한 이유는 그리스도의 흔적이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록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흔적을 끊임없이 지우고 있다 해도 지울 수 없는 곳에서 그리스도의 흔적이 끊임없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바로 그리스도인 들이다. 살아 계신 예수 그리스도를 경험하며 살았던 사람들은 지난 2000년동안 사라진 적이 없다. 이들의 고백과 증언이 있는 한 예수의 흔적을 지우지 못한다. 종이에 적힌 흔적은 지울 수 있고 몸에 지닌 흔적도 없앨 수 있지만 가슴에 새겨진, 그리스도로 인해 변한 삶의 흔적은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진정한 믿음의 흔적은 눈에 보이는 증거가 아니라고 바울은 말했다. 할례도 무할례도 아니고 오직 새로운 삶이라 했다. 몸에 새긴 흔적도, 눈에 보이는 어떤 흔적도 아니다.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의 흔적은 바로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이제 육체가 아니라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말했다 (갈 2:20). 이 믿음으로 살아온 그리스도인들이 지난 2000년을 이어온 그리스도의 흔적이다. 죽음 앞에서 예수를 부인하지 않은 사람들, 복음을 위해 순교한 사람들, 자신의 삶을 하나님께 헌신한 사람들,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의 사랑을 가슴에 새기고 평생 그 사랑을 고백하고 산 사람들, 이 증인들의 고백이 그동안 기독교를 지탱해 왔다. 내용을 왜곡하고, 진실을 막는다고, 없어지는 것도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이 세상은 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리가 아무리 막아도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흔적을 지우려 할 것이다. 해피 홀리데이 대신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똑바로 말하라고 외쳐도 듣지 않을지 모른다.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해피 홀리데이가 성탄일을 대신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래서 정말 크리스마스에서 예수를 기억하지 못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살아 계시는 한, 그리스도의 흔적을 가슴에 새기고 사는 사람들이 있는 한, 예수의 흔적을 이 세상에서 지우지 못할 것이다. 우리 안에 있는 그리스도의 흔적은 지울 수 없는 흔적이다. 한시대가 가고 믿음을 지켰던 세대가 떠난다 해도 새로운 그리스도의 증인들이 계속해서 나타날 것이다. 새로운 증인들의 고백은 이 세상이 끝나는 날까지 계속될 것이다. 그래서 세상에서 크리스마스를 해피 홀리데이로 부르든 뭐라고 부르든, 우리는 주님 오시는 그날까지 “메리 크리스마스” 이다. 할례나 무할례가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는 것만이 중요하니라.. 이 후로는 누구든지나를 괴롭게 하지 말라 내가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지니고 있노라 (갈 6:15, 17)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갈 2:20) 조영석 목사choyoungsuk@gmail.com
    Read More
  • 321
    [미주교계뉴스] 월드미션대학교, 간호학 프로그램 CCNE인가 취득해 크리스천헤럴드2022.12.15
      월드미션대학교(총장 임성진 박사) 간호학(RN to BSN) 프로그램이 CCNE(The Commission on Collegiate Nursing Education)인가를 취득했다. RN to BSN은 간호사를 위한 학사학위 프로그램으로서 2019년 간호학과 개설 이래 3기에 걸쳐 3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간호학과의 우수한 교육 수준과 졸업생들의 실력을 인정받아 이번에 정식으로 CCNE 인가를 취득하게 된 것이다. CCNE는 미국 교육부 장관(national accreditation agency)이 인정하는 공식 인가 기관으로서 간호학 학사학위, 대학원, 레지던트, 펠로쉽 프로그램의 품질과 통합을 보장하고,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성장과 개선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월드미션대학교 간호학과는 CCNE 인가를 받기 위해 학과장인 이영주 교수를 중심으로 지난 1년여간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그 결실을 맺게 됐다. 이번 월드미션대학교 간호학과의 CCNE 인가는 대단한 성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간호학과가 CCNE 인가를 받음으로써 영어권 학생을 유치할수 있게 되었으며, 한인 간호사들에게도 양질의 간호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지난 12월 2일 재학생과 졸업생을 비롯 학교 내외 관계자들이 모여 CCNE 인가 취득을 기념해 축하행사를 가졌다. 축하 모임에는 OKNA( oversea Korean Nurse Association: 세계한인간호사협회) 모니카 권 이사장, KANASC(Korean American Nurses Association of Southern California: 남가주 한인간호사 협회) 사라 고 부회장, 3C Medical Clinic 김영욱 원장 등 한인 지역사회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여 그동안의 노고를 치하하였다.  한편 2부행사에서는  월드미션대학교 간호학과 3기생이 주관한 논문발표가 있었다. 고혈압, 맞춤형 건강 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기반으로 한 접근 (Hypertension, community based Approach through tailored health education: 3기 박미숙 간호사), 엘에이 한인타운의 무보험 환자를 위한 의료지원활동에 대한 요구도 조사(The Study on needs for outreach activities for uninsured patients in LA Koreatown: 3기 박차순 간호사) 등의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월드미션대학교 간호학과에서는 RN to BSN 과정을 공부할 2023년 봄학기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지원마감은 2023년 1월6일이며, 문의는 admissions@wmu.edu 혹은 (213) 388-1000 으로 하면 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