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학 목사의 소통하는 교회 - 소통은 작은 속도의 헌신이 필요하다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뉴스

[오피니언] 김병학 목사의 소통하는 교회 - 소통은 작은 속도의 헌신이 필요하다

작성일 : 2025-09-15

페이지 정보

본문

소통은 말로만이 아닌 '속도를 맞추는것'부터 시작한다

“당신은 피스메이커Peace Maker가 되세요. 나는 페이스메이커 Pace Maker가 되겠습니다.”


지난 8월 25일,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한 말이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재자 역할에 기대를 걸며, 이 대통령 자신은 그 평화의 여정을 지원하고 뒷받침하겠다는 다짐을 전한 것이다. 이 말은 단순한 외교 수사가 아니다. 속도와 방향, 주도권과 협력의 의미가 담긴 발언이다.


예수님께서는 산상수훈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라”(마 5:9). 곧 피스메이커가 되는 것이야말로 하나님의 백성의 정체성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질문이 생긴다. 페이스메이커는 예수님의 말씀을 거역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이렇게 질문을 해야 한다. 오늘날 교회는 세상 속에서 피스메이커인가, 아니면 페이스메이커인가. 또는 이런 것들과 관계없이 교회는 누군가의 속도를 조율하며 함께 걷는 동반자였는가. 아니면 여전히 자기 나름의 속도로 앞서가기만을 원하는가. 


마라톤 경기에서 페이스메이커는 결승선을 통과하지 않는다. 대신 다른 선수들이 끝까지 완주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일정한 속도로 끌고 가주는 역할을 한다. 중심이 되기보다, 흐름을 만들어주는 조력자다. 


그런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한 말의 의미는, 앞에서 중재하는 역할은 당신이 하되, 나는 그 길이 끝까지 가도록 돕겠다는 것이며, 협력과 조율, 그리고 겸손한 헌신이 담긴 말이라고 해석이 된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피스메이커의 복은 ‘순간적 화해’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평화’이다. 


그런데 그 평화가 유지되려면 반드시 누군가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피스메이커가 평화를 세운다면, 페이스메이커는 그 평화를 끝까지 지켜내는 힘이 된다.


우리는 자주 묻는다. 왜 사람들이 교회를 떠나는가. 그러나 더 근본적인 질문은 이것이다. 교회는 지금 누구의 속도에 맞춰 걷고 있는가.


현대 사회는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지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의 언어는 여전히 교회 중심적이다. 예배와 선교, 헌신과 봉사의 언어는 있지만, 그리스도 밖에 있는 이들의 언어, 상처받은 이들의 시간, 교회를 처음 찾는 이들의 ‘속도’는 고려되지 않는다.


소통은 말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속도를 맞추는 것이 소통의 시작이다.


지쳐 있는 성도를 위해 교회의 속도를 늦추는 용기, 질문이 많은 청년을 위해 설명을 생략하지 않는 인내, 낯선 이웃을 위해 형식을 깨는 유연함. 이러한 태도가 오늘날 교회가 회복해야 할 ‘페이스메이커’의 정신이다.


누군가의 곁을 지키며, 그 사람이 포기하지 않도록 돕는 사람. 묻고, 기다리고, 다시 말해주는 사람.


넘어진 이에게 정죄보다 손을 내미는 사람. 그들이 바로 교회의 ‘페이스메이커’다. 많이 말하지 않지만, 누군가를 살리는 이들이다. 앞서가지 않지만, 공동체가 끝까지 완주할 수 있도록 만드는 힘이다. 그리고 바로 그들이야말로 예수께서 말씀하신 피스메이커의 사역을 가능하게 하는 숨은 동력이다.


교회가 진정한 소통을 원한다면, 더 많이 들어야 한다. 더 많이 기다려야 하며, 더 많이 맞춰야 한다.


이 시대가 교회에 묻고 있는 것은 “당신이 무슨 말을 하느냐”보다 “당신이 얼마나 함께 걷고 있느냐”는 질문일지도 모른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피스메이커로 불려야 한다. 동시에 교회 안에서는 서로에게 페이스메이커가 되어야 한다. 피스메이커가 방향을 제시한다면, 페이스메이커는 그 길을 지속하게 만든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화평케 하는 자의 복은 오늘 우리 시대에 이렇게 확장될 수 있다.

“화평을 만드는 자는 복이 있다. 그리고 그 평화를 끝까지 지켜내는 자 또한 복이 있다.”


이 땅의 수많은 신앙의 경주자들이 포기하지 않도록, 우리 교회가 그 옆에서 속도를 맞춰 함께 걸어갈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산상수훈이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가장 깊은 소통의 메시지일 것이다.


질문으로 남긴다:

당신은 지금, 누군가의 곁을 지키며 걷고 있는가. 당신의 공동체는, 어떤 속도로 이웃과 함께 가고 있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