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은주 교수의 탈진을 긍정하라 17 <탈진 관점으로 본 선교사 이야기 4 - 제임스 게일>
크리스천헤럴드2025.02.11
로리 앤 톤(Laurie Anne Tone)은 선교사의 탈진 원인을 직업, 대인관계, 심리, 타문화, 영성이라고 밝혔다. 선교사는 잦은 변화의 스트레스 연속상에서 탈진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은 한국인을 가장 잘 이해한 선교사로서 어둠 속에 빛을 선사한 선교사이다. 그는 무디(D. L. Moody)가 주도한 집회에서 선교를 결심하고, 1888년 4월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YMCA로부터 조선에 파견되었다. 그는 조선을 사랑하여 조선의 음식을 먹고, 옷을 입으며, 조선 전국을 12회 이상 순회했다. 조선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연구하여 조선인처럼 살았다. 그의 업적은 성서 번역과 찬송가 개편 및 최초의 영한, 한영사전을 만들며, 천로역정을 한글로도 번역했다. 문서 선교활동에 힘썼기 때문에 조선 고서적과 문화를 외국에 알리는데 일임했다. 또한 정신여학교와 경신학교의 새로운 교육 기반을 마련하고, 1900년 연동교회 목회를 시작으로 27년간 사역했으며, 조선에서 40년간 활동했다.필자는 게일의 탈진을 다음과 같이 발견한다. 첫째, 신체적 탈진이다. 그는 평신도 선교사로 시작했기 때문에 풍부한 재정 후원을 받지 못하고, 이곳저곳 일거리를 찾는 고독한 선교사였다. 파송 단체가 재정난으로 후원이 끊기자, 1891년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부로 전직하여 목사로 활동했다. 그는 40년 조선 선교사역을 하는 동안 한국성서공회 회장, YMCA 초대회장, 조선 예수교장로회 독노회장, 연희전문학교 이사, 평양 신학교 교수, 피어슨 기념성서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며, 휴가도 제대로 떠나지 못했고, 직책들을 보아도 많은 사역으로 과도한 에너지를 쏟고 지쳐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둘째, 심리적 탈진이다. 그는 동료 선교사들 간에 갈등을 경험했다. 마펫 덕분에 안수를 받았고, 평생 친구가 될 것 같았지만, 평양 신학교를 두고 의견 불일치로 갈등이 심했다. 또 다른 갈등은 교회 분열이었다. 연동교회는 천민 출신 고찬익, 이명혁 장로를 선출했고, 이어서 광대 출신 임공진 장로를 장립하다가 양반 교인들의 반발이 일어나 교회가 분리되었다. 갈등은 심리적일 뿐 아니라 영적 탈진까지 동반한다. 셋째, 문화적 탈진이다. 조선의 당시 상황은 격동과 혼란으로 점철된 시대였다. 쇄국과 개방으로 혼탁하고, 중국과 일본의 침략 가운데 헤매는 때였다. 전염병으로 죽은 시체들이 길거리에 내버려진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가. 그는 수많은 사람들이 죽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게일은 1890년 헤론 선교사 권유로 그 집에 거주하게 했다가 2개월 만에 헤론이 사망하는 것을 보았다. 1908년 아끼던 고찬익 장로를 잃었고, 사랑하는 아내 헤리엇 깁슨도 잃었다. 3.1 독립만세 운동을 목격하며 일본인의 총칼에 쓰러지는 사람들을 보았고, 1919년 4월은 일본군이 제암리 마을 예배당에 불을 지르는 사건과 총살 및 총검에 사람들이 찔려 죽는 것을 보았다. 더욱 마음에 사무치는 사건은 게일의 아들이 두 살 때 사망한 일이었다. 게일은 사랑하는 아들과 아내의 죽음과 죽어 가는 영혼과 독립투사들의 투옥으로 괴로워했고, 전쟁기간 동안 영혼의 건조함으로 큰 고통과 영적 탈진을 경험했다.게일이 탈진을 회복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을 신뢰하고 조선을 사랑한 열정이다. 그는 “조선에 가지고 갈 좌우명이 있어서 감사하다. 그것은 ‘나의 도움이 여호와에게서로다’이다.”라고 고백한 것과 1927년 사임할 때 “내 언제까지 내 마음에 한국을…”이라고 하며 애틋한 마지막 말을 남겼다. 그가 그토록 조선을 잘 이해한 덕분에 하나님을 다신론 ‘하늘의 주’에서 유일신론 ‘유일하신 큰 분’으로 번역하도록 크게 공헌했다. 조선을 향한 사랑과 열정이 사랑하는 이들의 죽음과 여러 갈등을 극복하고 헌신할 수 있었다. 둘째, 여행과 휴가였다. 그는 전국 순회를 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꼈고 마음이 회복되었다. 휴가 중에도 조선을 외국에 알리는데 힘썼지만, 사역에서 벗어나 새로운 힘을 비축할 수 있었다. 셋째, 평생의 동역자 이창직(게일의 어학선생, 천로역정 번역 협력자)과 한국인 동역자가 많았고, 어려울 때 동료 선교사들의 돕는 손길이 있었다. 선교사역의 잦은 변화 속에 은혜의 손길은 탈진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 믿음이 견고한 게일은 역방향으로 이승만의 스승이자 멘토 역할을 감당했다. 게일은 선교활동의 여러 변화 속에서 탈진을 경험했지만, 조선을 하나님께 의뢰하고, 다른 사람들을 멘토 할 정도로 강건하여 믿음의 동역자들과 함께 일어서며, 조선의 근대화와 영혼에 빛을 선사했다.김 은 주 교수미주장신대학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