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피니언] 김은주 교수의 탈진을 긍정하라 11 <선교사 사례로 보는 탈진>
페이지 정보
본문
탈진 경험은 복음을 더욱 값지게 해

‘조용한 아침의 나라’ 한국은 정치와 사회적 격변을 맞이하면서 1866년 로버트 토마스(Robert J. Thomas)의 순직으로 개신교 선교역사의 서막을 열었다. 그후 1945년 해방 전까지 1,500여 명의 선교사가 사역을 했다. 한국은 불교와 유교가 뿌리 깊이 자리잡고 있던 때라 기독교 문화가 생명을 불어넣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선교사들은 옛 선비들처럼 입고 먹고 살며 복음-교육-의료에 새물결을 형성했다.
선교사가 선교지 상황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은 복음전파의 기쁨과 동시에 고통이 따른다. 문화적 상황을 이해하고 적응하려면 문화 충격과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선교는 한민족의 처절한 상황과 일제의 강압과 무단적 지배에 맞서 눈물과 헌신이 끊이지 않았고 선교사들의 순직과 순교에 복음으로 우뚝 서게 하였다.
필자가 만난 한국 선교사들은 서양 선교사들이 조선을 방문하여 복음의 열매를 맺었듯이 타문화권에서 복음의 씨앗을 심었다. 선교의 길은 아픔과 고초가 있어도 영혼을 바라봄으로 인내하고 도전하며 승리로 이끈다. A남성 선교사는 장단기 포함하여 28년차 멕시코 선교를 했다. 그의 문화충격 1순위는 언어였다. 현지언어가 능숙하지 못함으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고 오해와 와해를 낳았다. 2순위는 재정적 압박이었다. 선교사는 스트레스로 인해 탈진과 건강이 악화되며 정신 및 영적 침체를 맞았다. 해결방안은 문화적응의 노력이었다. 탈진에 맞서 도전했다. 건강을 위해 스스로 운동하고 관리하며 취미생활을 했다. 그 외에 멘토와 상담하고 조언을 받았으며 말씀을 묵상함으로써 회복했다.
B여성 선교사는 14년차 일본 선교를 했다. 한국에서부터 일본어를 전공했고 일본에서도 8년 정도 학업을 마쳤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 충격은 없었다. 원활한 문화 적응은 일본문화 지식의 풍성함과 일본인 공동체 생활의 다양한 사역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선교사의 스트레스는 전도 열매가 없으므로 낙심하게 만들었다. 탈진은 교단 내의 갈등과 과도한 사역으로 빚어졌고 결국, 암진단을 받았다. 해결방안은 경청이 중요했다. 하나님의 음성에 경청했고 복음의 수신자에게 경청했다. 일본인의 첫 만남은 상대방이 말을 할 때까지 3-4시간을 침묵으로 기다리기도 했다.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인의 습성을 적응한 결과이다. 그 외에 1대1 데이트와 편지를 쓰는 것은 주님의 사랑을 전하기에 특수한 효과를 발휘했다. 선교사는 초 긍정의 자세와 감사로서 문화 적응을 하고 탈진을 극복했다.
C여성 선교사는 필리핀, 케냐, 인도네시아 선교 23년, 한국 선교 5년, 캄보디아 2년차 사역을 했다. 선교사는 기후변화와 풍토병으로 생사를 경험했다. 잦은 열병, 말라리아, 온갖 질병과 씨름했고 과다한 사역과 학교 설립은 심한 부담감을 느끼며 불가능을 역설했다. 그 후 파송 단체로부터 강제적 사임은 몸과 영혼을 녹여버렸다. 수차례의 탈진으로 두통, 구토, 설사, 불면증 등 신체를 악화시켰고 심리적 두려움과 영적 침체에 빠뜨렸다. 해결방안은 타인을 용서하고 하나님께 맡기며 기도하는 것이 최우선이었다. 영혼육의 안식과 깊은 성찰의 시간이 필요했다. 말씀 묵상과 기도의 시간이 많아지자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었고 평안과 영적 회복이 일어났다.
D남성 선교사는 8년차 중국 선교를 했다. 중국의 가정교회 사역은 건강하고 무난했으나 중국정책으로 강제추방 되었고 심리적 탈진이 일어났다. 남편 선교사는 아내의 탈진을 이해하지 못하고 갈등을 빚었다. 해결방안은 치유상담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며 탈진을 회복했다. 그 후 선교사는 자아를 찾고 선교적 관점이 변화되었으며 자신을 믿고 따라준 아내를 이해했다. 중국 선교가 하나님의 선물이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나는 과정을 주셨음에 깊이 감사했다. 선교사는 다시 한번 타문화권 선교에 도전할 여유를 가졌다.
한국 선교사들의 탈진은 불굴의 의지를 보여줬고 회복의 역사를 이뤘다. 그들의 눈물과 헌신은 자신을 살리고 또 다른 영혼을 살리며 그 나라를 부흥케 하는 복음의 씨앗을 심었다. 탈진의 경험은 복음을 더욱 고귀하고 값지게 만들었고 영혼을 살리는 열정의 도가니로 변화시켰다.
- 이전글조영석 목사의 생각하며 기도하며 - 후회와 회개 24.08.19
- 다음글이효상 컬럼 - 변화와 변심 사이에서 24.08.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