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석 목사의 생각하며 기도하며 - 한 달란트의 위용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뉴스

[오피니언] 조영석 목사의 생각하며 기도하며 - 한 달란트의 위용

작성일 : 2025-04-29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는 작은 일에 충실하고 부르신 곳에서 순종하며 살아가는 한 달란트의 청지기가 되어야

유대인의 화폐 단위였던 달란트는 오늘 날 재능이나 타고난 자질을 말할 때 사용한다. 만든 적든 우리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고, 이것을 이용해서 무엇을 해낼 수 있는 능력과 같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지 못한 사람은 있지만 재능이 없는 사람은 없다. 많고 적음의 차이는 있지만 하나님은 우리 모두에게 재능 즉 달란트를 주셨다. 마태복음 25장에 나오는 달란트의 비유를 보면 그렇다. 주인은 세 종에게 각각 그 재능대로 금 다섯 달란트, 두 달란트, 한 달란트를 주고, 받은 것을 활용해서 수익을 내도록 맡겼다. 이 중 두 사람은 재능을 활용해서 성과를 내었다. 그러나 한 사람은 받은 달란트를 땅에 묻어두어 아무런 결실을 만들지 못했다. 

이 비유의 초점은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게으른 한 달란트를 받은 종의 태도에 집중한다. 금 한 달란트도 적은 돈이 아닌데 왜 어떤 시도조차 하지 않았을까? 다섯 달란트를 받은 사람과 두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노력해서 두배의 결실을 거뒀는데 한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왜 작은 결실이라도 내지 못했을까? 의심이 가는 이유가 하나 있다. 바로 동기부여이다. 이 비유에서 간과하기 어려운 사실이 더 받은 사람과 덜 받은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필이면 문제가 된 종은 그 중 가장 적게 받은 사람이었다. 

혹시 적게 받아서 자신이 받은 것을 소중히 여기지 못한 것은 아닐까? 기왕이면 많이 받아 많은 결실을 내어 주위에 인정받고 싶은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적게 받은 사람의 열심이 많이 받은 사람과 같기 어려울 수 있다. 노력해 봤자, 더 가진 두 사람의 결과에 비교할 수 없을 테니 가진 것을 귀하게 여기지 못하고 시도조차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우리가 조심해야 할 함정이 있다. 한 달란트도 결실을 만들 수 있는 중요한 재능이지만 더 가진 사람과 비교하면 하찮아 보여 열심을 낼 의욕을 상실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재능으로 큰 일을 이룰 수 없다 여기니 그것을 위해 수고할 가치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우리들은 모두 다 한 달란트를 받은 작은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다. 뛰어나고 큰 능력을 가진 소수보다 작은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훨씬 많다. 문제는 한 달란트 가진 사람들이 많고 흔해서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의 시선은 자연스레 많은 능력을 가진 몇 사람을 향하게 된다.

어쩌면 한 달란트를 받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소심한 생각에 빠질 수 있다. 내가 만들 수 있는 변화가 적다 해서, 내가 일으킬 수 있는 차이가 적다 해서 스스로 도전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능력 있는 몇 사람을 바라보며 그들의 몫이라 생각하고 관중이 되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구경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 달란트를 가진 사람은 많고 열 달란트를 가진 사람은 적다. 한 달란트를 가진 사람이 열명을 모이면 열 달란트가 된다. 한 달란트를 가진 사람들을 모두 모으면 열 달란트를 가진 사람들보다 입도적으로 많아서 더 크고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 거대한 힘은 이 작은 힘들이 모여 연합해서 일으키는 것인데 그것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어느 한 사람이 소유한 힘과는 비교도 안 될 막강한 힘이다. 진정한 변화는 이 한 달란트를 가진 사람들이 모였을 때 비로소 일어난다.

한 달란트를 가진 이들의 재능을 작고 쓸모없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그 막대한 일꾼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오합지졸이 되어 버린다. 오늘날 교회가 약해지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일 지도 모른다. 스스로를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존재들이라 생각해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무력해져 교회가 힘을 잃었을 지도 모른다.

달란트의 비유는 많은 것을 가진 특별한 능력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한 달란트를 가진 우리들의 이야기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한 달란트를 받은 사람의 불충성을 호되게 나무라신다. 주신 재능을 하찮게 여기고 맡기신 일을 소홀이 여기는 태도를 나무라시는 것이다. 한 달란트를 땅에 묻어버린 종의 모습이 나의 모습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내가 가진 것이 비록 작고 대단한 능력이 아닐지라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주님의 교회를 위해 사용하라고 내게 주셨고, 나를 부르셨다. 우리는 작은 일에 충실하고 부르신 곳에서 순종하며 살아가는 한 달란트의 청지기가 되어야 한다.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 것에도 불의하니라” -눅 16:10- 


  • 조 영 석 목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