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묵 교수의 교수칼럼 - 코칭과 경청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뉴스

[오피니언] 신선묵 교수의 교수칼럼 - 코칭과 경청

작성일 : 2024-01-26

페이지 정보

본문

코칭이나 상담의 역할은 "문제 해결"이기보다 "들어 주고 기다려 주는 것"

오늘날 코칭이라는 분야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코칭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삶 가운데 이런 변화와 성숙을 이루도록 돕는 역할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변화를 도우려고 할 때에 많은 경우에 우리의 분석력으로 가르치고 잘못을 지적하고 결정을 해주려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코칭은 기본적으로 변화를 실행하는 본인이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고 변화의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위한 방안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워서 나아가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코치는 질문과 경청 그리고 격려를 통하여 스스로 변화를 잘 해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업이다. 

코칭을 실행해 보면서 가장 처음 마주친 어려움은 내가 답을 줄 수 없고 주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코치를 받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해줄 수 있는 말들이 너무 많은데 내가 그것을 절제하고 본인 스스로가 답을 찾아 나아가도록 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그것은 그 만큼 평소에 우리가 상대방이 스스로 변화를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하지 않고 우리가 답을 주고 결정해주려고 했던 것이었다. 그것이 결국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꺽고 의존적 존재로 만들고 그리고 변화를 위하여 생각을 넓혀가도록 돕지 못했던 것이다.

한번은 직장 동료에게 코칭을 실행하였다. 코칭을 마친 다음에 피드백을 받아보았다.  

그분의 말씀이 나와의 대화에서 늘 가르침을 받고 지적받는 느낌이었는데 처음으로 내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리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믿어주는 모습이었다고 하였다. 평소에도 나름대로 경청하고 격려한다고 생각하였는데 코칭을 실행해 보면서 상대방이 그전에는 그렇게 느끼지 않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그런데 나도 코칭을 실행해보니까 이전과 다른 점이 있었다. 이전에는 내가 머리를 짜내어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따라와 주지 않아서 좌절된 마음이 들었었다. 그러나 코치를 하면 나의 목적이 바뀐 것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좀 답답하였지만 내가 문제를 해결해 주어야 한다는 선한 부담감으로부터 자유스러워지는 느낌이었다. 그러면서도 코칭을 마쳤을 때에 상대방에게는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경청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관계와 공동체 속에서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를 잘 보여주는 사람 중에 하나는 파커 팔머가 있다. 그의 인간의 영혼에 대한 이해가 우리로 하여금 더 깊은 경청으로 이끌어 준다.

“인간의 영혼은 해결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자신의 말을 하고자 한다” 이 문장이 나오는 배경은 파커가 서로간의 어려움을 나누고 도움을 주고 받는 소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어렵게 꺼내놓는 순간에 그 문제에 대하여 너무 쉽게 답해 버리면 그 말하던 사람이 자신의 어려움이 쉽게 다루어지는 것을 보고서 도리어 더 이상 대화를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말하면서이다. 

그가 워크숍에서 채택한 토론 방식은 퀘이커 교도들의 “정화위원회 (Clearness committee)” 라는 것인데 이것은 개인의 영혼을 지켜주면서 개인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아주 오래된 과정인 것이다. 

그런데 여러가지 종류의 소그룹에서 혹은 코칭이나 대화에서 도움을 주는 중요한 통찰이다. 

그는 영혼을 야생 동물과 같다고 비유하였다. “우리가 숲속을 달려가며 도와줄테니 어서 나오라고 영혼에게 소리친다면 영혼은 더욱 꼭꼭 숨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조용히 앉아서 침착하게 기다린다면 영혼은 저절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조용하고 침착한 방식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의 영혼이 바깥으로 나오게 하는 대화의 기본 규칙을 필요로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그 사람에게 어떤 일이 알맞다고 재단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그의 영혼이 알맞은 수준과 속도를 유지하면서 스스로 대답을 찾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퀘이커 교도들은 역설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인간은 진리의 중재자인 내면적 교사를 갖고 있으며, 그 내면적 교사의 발언을 듣기 위해서는 서로 주고받는 커뮤니티를 형성해야 한다.”  그래서 이 모델은 개인이 내면에서 나오는 목소리를 듣게 도와주는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한편, 그 커뮤니티가 외부적인 논지와 조언으로써 개인의 내면성을 침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본 규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이것은 우리가 많은 경우 사람들과 맺고 있는 관계에서 또 그 대화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진리인 것이다. 

코치나 상담가의 역할이 대화에서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라 들어주는 것이라는 점도 이런 통찰과 맥을 같이한다. 사람들은 결국 자신들이 깨달아가는 것이고 코치나 상담가 혹은 소그룹에서 다른 구성원들은 사람들이 스스로 그런 작업을 해 나아가도록 함께해주되 듣고 기다려주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나를 가르쳐 줄 사람이 아니라 나의 이야기를 정죄하지 않고 들어줄 사람, 그래서 나로 하여금 내 내면의 소리를 듣고 답을 찾아 갈수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이 필요한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